[Algorithm] 정렬 - ‘두 배열의 원소 교체’
📣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
정렬 알고리즘 문제입니다. 문제에 대한 내용과 풀이 그리고 결과를 간단하게 작성하였으니 참고바랍니다.
풀이 언어 : Python
문제 설명
내용
두개의 배열 A와 B가 있다. 두 배열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, 배열의 원소는 모두 자연수이다.
최대 K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, 바꿔치기 연산은 배열 A의 원소 하나와 배열 B의 원소를 하나 골라서
두 원소를 서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. 최종 목표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.
N, K 그리고 배열 A, B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, 최대 K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하여 만들 수 있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하시오.
입력
첫 번째 줄에 N, K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(1 <= N <= 100,000 / 0 <= K <= N)
두 번째 줄엔 배열 A의 원소들이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모든원소는 10,000,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.
세 번째 줄엔 배열 B의 원소들이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모든원소는 10,000,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최대 K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하여 만들 수 있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한다.
문제 풀이
정렬 Algorithm 참고내용
| 정렬 알고리즘 | 평균 시간 복잡도 | 공간 복잡도 | 특징 |
|---|---|---|---|
선택 정렬 |
O(N^2) | O(N) | 아이디어가 매우 간단하다. |
삽입 정렬 |
O(N^2) | O(N) | 대부분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을 때는 가장 빠르다. |
퀵 정렬 |
O(NlogN) | O(N) | 대부분의 경우에 가장 적합하며, 충분이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. |
계수 정렬 |
O(N+K) | O(N+K) | 데이터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매우 빠르게 동작한다. |
-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 사용 시 빠른 성능을 나타냄.(최악의 경우에도 O(NlogN)의 시간 복잡도를 가짐)
위 참고사항을 준수하며, 풀어보자.
일단 매번 배열 A에서 가장 작은 원소와, 배열 B에서 가장 큰 원소를 교체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다.
정렬 방법은 다양하지만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A와 B를 정렬하여 위 목표와 맞게 프로그램을 작성한다.
작성 코드
Python
참고 : ‘동빈나’님의 (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) 4. 정렬 알고리즘 영상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