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Baekjoon] 2805번 - ‘나무 자르기’
📣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
Baekjoon 2805번 문제입니다. 문제에 대한 내용과 풀이 그리고 결과를 간단하게 작성하였으니 참고바랍니다.
풀이 언어 : Python
문제 설명
내용
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.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,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.
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, 상근이는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.
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. 먼저,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.
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. 그 다음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.
따라서,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,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.
예를 들어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, 15, 10, 17이라고 하자.
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,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, 15, 10, 15가 될 것이고,
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.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.
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,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.
이때,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000, 1 ≤ M ≤ 2,000,000,000)
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.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,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.
높이는 1,000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.
출력
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.
문제 풀이
Binary Search Algorithm 참고내용
- 정렬되어 있는 리스트에서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이다.
- 일반적으로 Parametric Search 문제에 이진 탐색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.
- Parametric Search : 최적화 문제를 결정문제(예 혹은 아니오)로 바꾸어 해결하는 기법
- Parametric Search : 최적화 문제를 결정문제(예 혹은 아니오)로 바꾸어 해결하는 기법
위 참고사항을 준수하며, 풀어보자.
적절한 높이를 찾을 때까지 이진 탐색을 이용하여 높이 H를 반복해서 조정한다.
현재 이 높이에서 자르면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가를 확인한 뒤에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서 탐색 범위를 좁혀나간다.
작성 코드
Python
제출 결과

댓글남기기